진도개영농조합
 
조합소개 조합보유견 분양안내 진도개이야기 훈련/교배 사회공헌활동 커뮤니티
 
진도개상식 동물병원 옛진도모습 진도개칼럼
 
 
 

작성자 영농조합
작성일 2003-01-25 (토) 03:59
홈페이지 http://www.jdog.co.kr
분 류 일반
ㆍ추천: 116  ㆍ조회: 15010      
IP: 61.xxx.151
진도개 질병관리

 

1차 접종

2차 접종

3차 접종

보강 접종

기본 D.H.P.P.L

생후 6~8주

생후10~12주

생후 14~16주

매년 1회

응용 D.H.P.P.L
(다두사육)

생후 4~6주

생후 8~10주

생후 12~14주

 매년 1회

광 견 병

생후 3개월

생후 12개월

매년 1회

 

기생충약

생후 2주

생후 4주

생후 6주

매년 2회


진도개 질병관리

진도개를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주요 질병에는 홍역, 전염성간염, 장염, 바이러스성 호흡기병, 렙토스피라증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예방 접종을 하여야만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고 보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수의사와 상의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염병 및 기생충 예방 프로그램

디스템퍼(홍역)

흔히 개 홍역이라고 말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전염성이 강해 폐사율이 높다.주요증상으로 눈곱이 끼고 높은 열로 인해 콧등이 갈라지고 마르며 때로 발바닥이 두꺼워지기도 한다.병의 말기에는 규칙적으로 침을 흐리며 껌 씹는 것처럼 턱을 부딪히며 떨거나 안면근육(특히 머리쪽)을 욱신 거리는 전형적인 신경증상을 보이면서 서서히 죽어간다.

원 인 - 디스템퍼 바이러스(Distemper virus)에 의해 감염

증 상

① 1차증상 : 바이러스 감염된지 4일이 지나면 1-2일간 열이 오르고 약간의 식욕이 없고 결막염으로 인해 눈이 충혈된다.
② 2차증상 : 바이러스 감염된지 14-18일째 다시 열이 오르고 식욕과 활기가 없다. 기침, 구토, 설사, 호흡곤란으로 진행되고 전혀 먹지 않으며 결국 눈에 심한 눈곱이 끼면서 신경증상을 보이다 죽는다.

치 료 - 일단 발병하면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치료효과가 낮다.

① 면역혈청치료
② 대증 치료 : 항생제, 해열제, 항 경련제, 수액, 등

예 방 - 예방백신(DHPPL)투여가 최선이다.

① 강아지 : 생후 6-8주에 1차 접종 2주 간격으로 3회 접종
② 성견 : 매년 1회 이상 접종
③ 번식용 암캐 : 교배 전 접종 (강아지의 초유면역을 이유기까지 지속시켜 줌) 이때 구충제도 함께 투여하면 더욱 좋다.

전염성 간염증

원 인 - 개 아데노 바이러스(Canine adenovirus)중 제1형(CAV-1)

증 상 - 잠복기는 2-5일이다. 증상은 3가지 형으로 구분된다.

① 경증형 : 식욕감퇴, 의기소침, 발열 후 회복
② 중증형 : 불 활발, 고열(41˚C), 식욕감퇴, 구토, 복통, 편도선종창, 임파선종대, 드물게 황달도 나타난다.
③ 급사형 : 고열 복통 후 12-24시간 만에 폐사한다. 이 질병에서 회복되는 과정에서 1-3주만에 한쪽 또는 양쪽에 각막 백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영구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만성진행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간 경화증을 보인다.

치 료 -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다.

① 면역혈청요법
② 대증 치료 : 수액, 수혈, 항생제투여 등의 방법이 있으며 각막혼탁이 오는 경우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치료는 금물이다.

예 방 - 예방백신(DHPPL)투여

개 파보 바이러스 감염증

1978년부터 갑자기 세계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한 새로운 전염병이다. 혈변을 보이는 장염형과 급사를 주증으로 하는 심근염 형으로 구분된다.

원 인 - 개 파보 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증 상

① 장염형 : 구토, 물 같은 설사 또는 피가 섞인 설사를 보이고 치료하지 않으면 탈수증으로 죽는다.
② 심장형 : 갑자기 날뛰며 20-30분 호흡곤란을 보이다 죽는다.

치 료
① 장염형 : 집중적인 수액요법, 지사제, 장점막보호제의 투여, 항생제 투여로 회복될 수 있다.
② 심장형 : 치료방법이 없다.

예 방 - 예방백신(DHPPL)투여

개 허페스 바이러스 감염증

원 인 - 원인체는 개 허페스 바이러스(Canine herpesvirus)이다. 주로 1주령 이내 강아지에 침입하여 신생 강아지에 폐사를 일으킨다.

증 상 - 보통 7-10일령에 발병하며, 침울, 활기소실 후 젖을 빨지 않고 복통 때문에 계속 울다가 24시간내에 죽는다.

치 료 - 치료방법은 없다.

예 방 - 예방방법은 모견에서 얻은 혈청 2ml를 복강에 주사한다.

개 바이러스성 호흡기병(Kennel cough)

여러가지 바이러스로 인해 기관, 기관지염으로 흔히 사육장에서 빈발한다.

원 인

① 1차 원인균 :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Canine distemper virus), 개 전염성 간염 바이러스(Canine adenovirus 1 ; CAV - 1), 개 파라인플렌자 바이러스(Canine parainfluenza virus), 개 허페스바이러스(Canine herpesvirus)등이다.

② 2차 원인균 : 기관지 폐혈증균(Burdetella bronchiseptica)이며 병을 악화시키는 주된 균이고 비말 감염(기침으로 인한 타액)이 주된 경로이다.

증 상

① 경증형 : 일시적으로 콧물을 보이다 곧 회복된다.
② 중증형 : 콧물, 발작성 기침 또는 가시 걸린 듯한 기침, 발열, 의기소침

치 료 - 항생제, 기관지 확장제, 진해거담제, 해열제 투여

예 방 -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예방백신(DHPPL)접종이 도움이 된다.

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원 인 : 개 코로나 바이러스(Canine virus)

증상 및 예방 : 장염, 설사를 하다 1-2주 후에 회복된다. 백신 투여로 예방할 수 있다.

광견병

개 뿐만 아니라 모든 온혈동물에 발생하며 폐사율이 높은 인수(人獸)공통의 법정 전염병이다.

원 인
① 원인체 : 광견병 바이러스(rabies virus)
② 전염경로 : 주로 감염동물에 물리거나, 배설물에 접촉하여 피부에 균이 침투하여 전염되며 공기 전염도 가능하다.

증 상

① 잠복기 : 15-25일이다.
② 전구기 : 초기 거동의 이상이 나타나는 시기이며 36시간까지 계속된다. 동공이 커지고 말기에는 축동된다.
③ 발병기 : 미처 날뛰며 아무거나 문다. 후두가 마비된다.
④ 침울기 : 제대로 걷지 못하고 점차 마비가 오며 전신경련 후 수일 내에 죽는다.

진 단 - 광견병의 특이증상으로 진단한다.

치료 및 관리

① 치료방법은 없다.
② 의심되는 개는 안전하게 격리한 다음 1주일간 증상 및 폐사 여부를 관찰한다.
③ 의심되는 개에 물리면 상처부위를 비눗물로 씻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예 방 - 변이생독백신 : 3-4개월령에 1차 광견병 예방접종, 12개월령에 2차접종, 매년 추가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백신 투여 및 구충, 소독

진도개에서 가장 문제되고 있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주로 홍역으로 일컬은 디스템퍼, 전염성 감염, 파라인플렌자, 개 바이러스성 호흡기병(케널 코프), 파보 감염증 등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은 종합예방백신접종(DHPPL)과 장염 백신 접종으로 차단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규칙적인 구충과 주기적인 견사 소독을 필수적으로 병행해야 한다는 것을 항상 염두 해 두어야 한다.

백신 투여 방법 및 구충

① 번식용 암캐는 교배 전에 반드시 DHPPL를 접종하고 구충제를 투여할 것.
② 출산된 강아지가 약 45일령에 도달하면 파보백신을 투여할 것. 이때 강아지 구충제를 함께 투여할 것.
③ 파보백신을 접종한 강아지는 2주 간격으로 DHPPL를 3회 접종할 것. 이때 출생한 약 60일령(이유기)에 2차 구충을 할 것.
④ 강아지로부터 젖을 뗀 모견은 구충제 투여할 것.
⑤ 모든 성견은 반드시 년 1회 종합예방백신(DHPPL)을 투여할 것.
⑥ 모든 성견은 봄, 가을 2회 구충제 투여할 것.

    N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9 진도개의 역사 영농조합 2003-01-25 13062
8 진도개의 체형 영농조합 2003-01-25 24688
7 진도개의 기질 영농조합 2003-01-25 19923
6 진도개의 사양관리 영농조합 2003-01-25 16143
5 진도개 질병관리 영농조합 2003-01-25 15010
4 진도개의 번식 영농조합 2003-01-25 13693
3 진도개 보호육성법 영농조합 2003-01-25 8047
2 진도개 보호육성연혁 영농조합 2003-01-25 5025
1 천연기념물 지정경위 영농조합 2003-01-25 696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