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개영농조합
 
조합소개 조합보유견 분양안내 진도개이야기 훈련/교배 사회공헌활동 커뮤니티
 
진도개상식 동물병원 옛진도모습 진도개칼럼
 
 
 

작성자 영농조합
작성일 2006-11-14 (화) 21:16
홈페이지 http://www.jdog.co.kr
분 류 일반
ㆍ추천: 94  ㆍ조회: 5152      
IP: 218.xxx.123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인간과 마찬가지로 애완견에게 예방접종이란 질병을 일으키는 비이러스나 세균 등의 항원을 약화시키거나 죽여서 생체에 접종하는 백신 접종을 말합니다. 항원을 접종하면 생체 면역체계에서 이 항원과 싸울 수 있는 항체를 형성하여 해당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정한 질병은 이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의 건강을 위해서도 또 개로부터 옮길 수 있는 질병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예방접종은 필수적입니다.

개를 처음 분양받거나 새끼가 태어나면 종합 예방접종(DHPPL), 코로나 장염 백신, 켄넬 코프 및 광견병 등 예방접종을 마쳐야 합니다.

또, 이렇게 접종을 하는 기간 동안 기생충 구충제, 심장사상충 예방약 등 다른 질환의 예방약 등을 때에 맞춰 먹여야 합니다. 이들 백신이나 약품 중에서 서로 충돌하면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키는 것도 있으므로 예방접종 기간 동안 다른 약품의 복용은 반드시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해야 합니다.

접종시기 종합백신
(DHPPL) 코로나 장염
백신 켄넬코프
백신 광견병
백신 구충제 심장사상충
예방
4주령         구충제 투여 모기발생시기(5~11월)에 감염검사 후 한달 간격으로 예방약 투여
6주령 1차 1차     1~2개월마다 추가 투여
8주령 2차 2차    
10주령 3차   1차  
12주령 4차   2차  
15주령 5차     기초
15주령 이후 매년마다
추가접종 매년마다
추가접종 매년마다
추가접종 6~12개월마다
추가접종


그렇다면 각각의 예방접종은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설명하겠습니다.


1. 각 질환의 증상과 예방접종

1) 종합 백신(DHPPL)

이 예방접종은 개 홍역(Canine Distemper), 전염성 간염(Infectious Hepatitis), 파보 바이러스 장염(Pavoviral Enteritis),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Parainflluenza) 및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등 다섯 가지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입니다.
홍역은 식욕 감퇴, 고열, 누런 콧물, 과다한 눈곱, 눈의 충혈, 마른 기침, 구토, 설사를 동반하고 신경계에 침입하면 경련이나 마비 증상을 보입니다.
전염성 간염은 황달, 식욕 감퇴, 고열, 구토, 복통 등의 증세를 보이며 어린 강아지에게는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파보 바이러스성 장염은 바이러스가 위장관에 침입해서 융모를 파괴하기 때문에 피가 섞인 설사나 구토를 동반하며 이로 인해서 심한 탈수 현상을 일으켜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전염성 질환입니다.
파라인플루엔자는 기관지에 염증을 일으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렙토스피라증은 세균이 신장에 침입하여 피가 섞인 소변을 보고 황달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2) 코로나 장염 백신
코로나 바이러스성 장염은 파보 바이러스성 장염과 유사하게 피가 섞인 설사를 하고, 구토를 하며, 열이 나고, 식욕이 없어지는 증세를 보입니다.

3) 켄넬 코프 백신
켄넬 코프는 사람의 감기와 비슷하게 전파되며 강아지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에서 공기를 통하여 쉽게 감염됩니다. 아주 심한 마른 기침을 일으키며 가끔 폐렴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4) 광견병 백신
광견병은 야생 온혈동물에게 물린 개나 고양이들의 신경계를 침입하여 감염되는 질병입니다.흔히 알고 있듯이 행동이 난폭하게 변화하고 공격적으로 되며, 동공이 확장되고 목소리가 변하고, 심한 불안감과 침울함을 보이기도 합니다. 사람을 물 경우에는 사람에게도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잘 아셔야 하는 점은 개는 사람처럼 한번 접종하면 평생 동안 면역을 갖거나 수년 동안 면역이 유지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수준의 항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년에 1회 이상 추가 접종을 반드시 해주어야 합니다.
종합해보면 생후 첫 해에는 네 가지 기본적인 예방접종은 그 스케줄에 따라 맞게 하고, 1년 사이클로 재접종을 하되, 더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 전에 항체형성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태어난 첫 해에는 6~8주 후부터 2주 정도 간격으로 총 5회 병원을 방문해서 접종을 하고, 그 다음부터는 1년에 한번씩 접종하되, 항체검사를 해서 항체가 형성돼 있는 백신만 제외하면 됩니다.

2.구충제

개가 장내 기생충에 감염되면 설사와 구토로 인한 영양손실과 빈혈 등으로 발육이 저하되거나 쇠약해져 다른 질환에 쉽게 감염됩니다. 특히 어린 강아지의 경우에는 심한 경우 죽기까지 합니다. 장내 기생충에는 회충, 십이지장충, 조충, 편충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원충성 기생충인 콕시륨과 지알디아 등이 있습니다. 이들 장내 기생충은 주로 어미 뱃속에 있을 때 태반을 통한 감염되거나, 위생적이지 못한 환경에서 다른 개의 똥이나 신체접촉 등을 통해 감염됩니다.
그러므로 여러 마리의 개가 함께 생활하는 사육장 등에서 분양을 받았다면 변 검사를 한 후, 해당하는 기생충을 구제하는 치료를 해야 합니다.

3. 심장사상충 예방
심장사상충이란 Dirofilaria immitis가 모기를 매개체로 해서 개의 심장 우심실과 폐동맥 내에 기생하면서 호흡계, 순환계, 비뇨기계 등 신체 전반에 장애를 가져오는 질환입니다. 국내에서는 실제 2~30%의 개들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인식이 미흡하여 경각심이 별로 없는 실정입니다. 모기가 출몰하는 5월~9월까지 1달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예방약을 복용시켜 주어야 합니다.

5. 예방접종이 끝나면
예방접종을 하고 나면 컨디션이 조금 떨어지기 때문에 편안히 쉬게 해주고, 목욕을 시킨다거나 장거리 여행이나 운동을 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간혹 예민한 강아지들은 예방접종을 한 후에 식욕이 없어지고,미열이 나거나 변이 무르게 나오거나 침울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상태를 관찰해야 합니다. 만일 열이 많이 나고, 구토, 설사, 경련이나 두드러기, 부종 등의 알러지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으로 연락해 담당 수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N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47 배뇨장애 (잘먹고 잘싸는법) 영농조합 2007-11-29 3357
46 강아지와 기생충 영농조합 2007-10-10 4211
45 심장사상충 예방 영농조합 2007-07-15 3539
44 약 먹이기 영농조합 2006-11-14 3194
43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영농조합 2006-11-14 5152
42 개도 암에 걸려요. 영농조합 2006-11-14 2913
41 비만과 개 영농조합 2006-11-14 2541
40 가슴은 아프지만, 개는 더 빨리 늙어가요 영농조합 2006-11-14 4125
39 설사와 그 대처방안 영농조합 2006-11-14 3052
38 건강 체크를 위한 일상생활 관찰 영농조합 2006-10-23 3319
37 계절별 건강 관리 영농조합 2006-10-23 2760
36 직접 확인하는 건강 체크 영농조합 2006-10-23 2319
35 출산 후의 관리 영농조합 2006-10-18 2729
34 임신견의 관리 영농조합 2006-10-18 3185
33 산실 준비하기 영농조합 2006-10-18 2113
32 짝짓기 때 주인이 배려할 것 영농조합 2006-10-18 3275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