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진돗개 `우월 유전체의 비밀` 풀렸다 생명연, 유전체 해독 성공…세계 다른 품종과 다른 고유 품종 확인디지털타임스|안경애|입력2012.04.16 20:06 국내 연구진이 진돗개 유전체를 최초로 해독하고 계통의 순수성을 확인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정혁) 유전체자원센터 박홍석 박사(사진)팀은 약 30억쌍의 진돗개 핵DNA와 1만6727쌍의 미토콘드리아DNA 구조를 분석한 결과 진돗개가 순수 계통을 가진 고유 품종이란 점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개는 세계적으로 400여 종류의 품종이 있는데, 전체 유전체가 해독된 것은 2005년 복서(Boxer)라는 독일 원산지 품종이 해독된 후 이번이 두 번째다. 연구팀은 2008년 1월생 수컷 진돗개인 `금강'이의 혈액에서 핵DNA와 미토콘드리아DNA를 분리한 후 잘게 쪼개 각 조각의 염기순서를 분석한 후 컴퓨터로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전체 염기순서를 해독했다. 핵DNA 분석 결과를 복서와 비교한 결과 유전체 염기서열의 변이가 약 0.2%로 나타나 사람의 인종간 변이가 0.1%인 점을 감안할 때 큰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오랜 시간 인위적인 선발과 교배에 의한 유전적 격리 때문으로 해석됐다. 또 진돗개와 복서의 유전자 구조를 비교한 결과, 전체 구조 차이가 0.84%로 나타난 데 비해 후각 기능 관련 유전자 변이는 20%로 큰 차이를 보였다. 개의 후각 유전자가 활발하게 변이를 일으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진돗개의 계통분류를 위해 세계 79개 품종과 미토콘드리아 DNA 구조를 비교한 결과 진돗개는 세계 다른 품종과 확연하게 다른 순수 계통의 품종임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DNA는 핵에 들어있는 DNA와 달리 모계로 유전하면서 변이가 많이 일어나지 않아 계통 분석에 적합하다. 박홍석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진돗개의 순수혈통 보존과, 진돗개 고유 유전체 자원을 활용한 우수 품종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개는 암, 백내장, 면역질환, 심장질환 등 인간과 360여 가지의 공통 유전병을 갖고 있는 만큼 향후 관련 유전자 연구에도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의 지원 하에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유전체 분야의 권위지인 `DNA 연구(DNA Research)'지 4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안경애기자 naturean@ |
![]() |